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

나의 자궁내막증 이야기 (환경호르몬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 어릴 땐 별로 생각해보지 못했어도 어느 날 나 또는 가족, 지인이 아프거나 질병에 걸리게 되면 비로소 건강에 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 나는 15년 전 08학번의 늦깎이 입학생이었으며, 야간대학을 다니며 학비를 벌기 위해 한 병원 건강검진센터 부인과에서 어시스트일을 하게 되었다. 집안형편이 넉넉하지 못한 까닭에 최대한 생활비를 줄이려 노력했다. 병원 마치고 학교에 가기 전에 집에 들러 밥을 먹기엔 시간이 부족해서 늘 편의점 김밥이나 분식, 와플 같은 길거리 음식으로 허기를 채웠다. 당시 20대 초중반이라 그래도 어린 나이어서 그런지 컨디션도 나쁘지 않았고 어디 아픈 곳도 없어서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했었다. 어느 날 나랑 비슷한 또래의 나이로 보이는 여성분이 난소에 '자궁내막증'이 발견되어 수술을 권.. 2023. 3. 24.
건강 챙기려면 호르몬도 알아보세요. 나는 개인적으로 호르몬에 따른 몸의 변화를 느껴보았는데, 당시 너무 신기한 경험이라 호르몬에 대해 한번 정리해 보고 공유해보고자 한다. 나는 20대 초반 자궁내막증 수술을 2회나 했었다. 자궁내막증 원인은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지만 일단 발병하는 직접적인 원인은 생리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여 자궁 내 있어야 할 조직이 다른 곳에 자라나 혹이 생겨가는 질환이다. 그래서 수술 직후에 6개월간 여성호르몬 억제주사를 맞는다. 6개월간 생리를 하지 못하게 해 재발률을 낮추기 위함이다. 여성호르몬이 나오지 않자 20대 초반의 나이에 폐경기 여성과 같은 증상을 경험했다. 갑자기 몸에 열이 올라 얼굴이 빨개지고 등에 식은땀이 줄줄 흘렀다. 실제 폐경을 맞이한 어머님들이 매우 힘드실 것 같았다. 오늘은 호르몬에.. 2023. 3. 5.
제 7의 영양소, 식이섬유 식이섬유는 무엇인가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소화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되는 고분자 탄수화물이 있다. 바로 누구나 알고 있는 식이섬유(dietary fiber 또는 roughage)로 주로 식물세포의 세포벽 또는 식물 종자의 껍질 부위에 분포되어 있다. 식이섬유라는 용어는 1953년 힙슬레이(Hipsley)가 섬유질이 식품 중의 불소화성 섬유질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에서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의 세 성분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식이섬유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식이섬유는 소화와 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영양소로서의 가치가 없으며, 열량도 없기 때문에 에너지원으로도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1970년대 초부터 식이섬유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는데, 섬유질을 적게 섭취하는 사람.. 2023. 3. 2.
마이크로바이옴 - 건강한 삶을 위한 또 다른 키워드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오타: microbiota)과 유전체(게놈: genome)의 합성어이다. 또한 미생물 (Microbe)와 생태계 (Biome)의 합성어로도 볼 수 있다.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인체 마이크로바이오타 (Human microbiota)는 미생물 자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전체를 지칭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대변 미생물 이식은 영어로 Fecal microbiota transplant (FMT)로 쓴다. 영어권에서는 이 Microbiota와 Microbiome이 잘 구분되어 쓰이지만, 국내에서는 모두 마이크로바이옴으로 쓰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에 공존하며 살고 있는 상재균, 공생균, 병원균 등 세균과 바이러스 및 곰팡이까지 포괄하는데 70kg 성인 기준 약 38조 .. 2023. 2. 27.
반응형